2017년 11월 24일.
김관진 전국방장관이 사이버사 댓글조작 사건의 책임자로 구속됐다가 11일만인 어제 구속적부심에서 풀려나
자 JTBC는 뉴스프로그램에서 "김 전장관이 자신의 범죄를 시인한 것도 아니고 달리 구속 때와 상황이 변한게
없는데 동일 법원에서 불과 11일 사이에 어떻게 석방할 수 있나" 하고 강한 의구심을 보도하면서 석방 결정을
한 서울중앙지법 51부(주심 신광렬 부장판사)에 보도의 촛점을 맞췄다. 그러면서 '구속 적부심이란 피의자에
대한 구속이 적법했는지 또는 타당한지를 다른 재판부가 다시 검토하는 제도로서, 구속을 전후해 특별한 사정
변경이 있는지, 또 피의자가 증거를 내놓거나 자백하는 상황을 참작해 판단하는데, 통상 이런 상황이 많지 않
기 때문에 구속된 피의자를 다시 석방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그래서 적부심으로 석방된 사례는 15%에 불과
하다'고 통계숫자까지 예를 들어가며 김 전장관의 석방 결정에 대해 강한 의구심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이같이
동일 법원에서 전혀 다른 결론을 낸 것을 두고 법원 내에서도 이례적이라는 반응이 나온다고 강조했다. JTBC
의 이러한 보도 자세는 적폐청산과 이명박의 처벌을 원하는 국민 대다수의 여론을 정확하게 짚어내는 정론이
라고 할 수 있다.
▲ 여론 줄타기인가 - 한 뿌리의 두 매체가 서로 다른 보도를 하는 이유는 뭔가.
여기에 반하여 중앙일보의 보도 태도는 완전히 다르다. 중앙일보는 오늘자 사설에서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이
법원의 구속적부심사를 통해 풀려난 것은 의미심장하다. ‘적폐 수사’ 이후 구속됐다가 풀려난 첫 사례다. 법원은
김 전장관이 국군 사이버사령부 정치댓글 사건에 관여한 혐의가 있지만 도망이나 증거 인멸의 우려가 적어 굳이
감방에 가둬둘 이유가 없다는 뜻을 나타냈다."고 김 전장관의 석방을 반기는가 하면 "노무현 정부부터 이명박·
박근혜 세 정권에 걸쳐 합참의장·국방장관·국가안보실장을 역임한 ‘뼛속까지 무인(武人)’이란 평을 듣는 김 전장
관"이라는 표현을 써서 아예 사설에 드러내놓고 '관진어천가'를 읊었다. 그러면서 "김 전장관이 현직도 아닌 상
태에서 얼마나 증거를 조작할 수 있겠는가. 도주 운운은 더더욱 가당치도 않다."고 구속 결정을 한 판사를 매도
하는가 하면 "일부에선 구속영장을 발부해 놓고 다시 풀어준 법원의 판단 모순을 비판하지만, 비정상을 정상으
로 돌린 것에 불과한 것을 비판하는 것이니 상식에 어긋나는 일이다."라고 JTBC의 보도를 '상식에 어긋나는'보
도로 몰아부쳤다. 왜 이런 기이한 보도자세를 보이는건가? 논리적 타당성을 떠나서 중앙일보의 보도는 같은 뿌
리의 JTBC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이 두 매체가 왜 이렇게 서로 앙숙처럼 대립을 하고 있는걸까. 가관이다.
'글이 있는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자비한 얼굴가격- UFC는 스포츠인가 (0) | 2017.11.29 |
---|---|
MLB퇴출 한국선수를 어떻게 보아야 하나. (0) | 2017.11.28 |
소치올림픽 이후 난잡해진 여자피겨 경기심사 (0) | 2017.11.21 |
타이완에도 치어리더들이 있나. (0) | 2017.11.19 |
테니스선수는 야구선수와 다른가. (0) | 2017.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