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4월 8일.
"내가 미령이와 함께 살 때 '부부십계명' 제 1조로 '술 먹는
거 갖고 서로 시비걸지 말자, 그대신 아침에 웩웩대는오리
소리는 내지말자.'고 했는데 미령이는 나더러 '왜 술 먹고
오는 날엔 아예 변기를 끼고 사냐.'라고 놀렸다. 웨액웨엑"
만약 개그맨 전유성이 코미디 공연장에서 이런 코미디를
한다면 관객은 웃을까. 불쾌감에 얼굴 찡그릴까.
▲ 아이돌 공연장인가 - 미국에서는 스탠드업 코미디도 이정도다. 들과 함께 다음달부터 3개 도시 투어에 나선다는 소식이다.
이번 투어기간 동안 전유성은 '스탠드업 코미디'를 할 계획
이라고 한다. 그는 스탠드업 코미디 주제로 두 종류를 준비
했는데 하나는 20분짜리, 하나는 30분짜리- 둘 중 하나는
오로지 술에 관한 얘기로만 채울 계획이라고 한다.
스탠드업 코미디는 코미디의 주인공이 혼자서 무대에 서서
마이크 하나만 들고 말로써 관객을 웃기는 코미디'형식이다.
원래 코미디언(Comedian)은 이런 스탠드업 코미디언을 뜻
했다. 스탠드업 코미디의 키포인트는 마이크 하나와 주인공
의 입담만 가지고 관중을 휘어잡아야 한다는 것. 그만큼 재
밌는 농담과 뛰어난 전달력 그리고 순간적인 순발력이 필요
한 탓에 일반 강연보다 굉장히 어렵고 힘들다. 이렇게 성공
하기가 힘든 분야지만 서구권에서는 한번 성공하면 그만큼
들어오는 수입이 엄청나다. 포브스에서 조사한 2016년 한
해 코미디언 수입 1위가 미국의 케빈 하트였는데, 1년간 수
입이 무려 8,750만 달러, 한화로 1,000억원 이상의 수입을
벌어들였을 정도다.
스탠드업 코미디의 주제는 (일단) 객석에 웃을을 주는 내용
이어야 한다. 그러나 (풍자와 표현의 자유가 극도로 보장되
는 서구와 달리) 우리나라는 여러모로 제약이 따른다. 특히
인종문제, 살인, 강간, 외모, 사상문제, 소아성애, 동성애 등
에는 제약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스탠드업 코미디의 어려움은 코미디언
이 지속적으로 관객들을 웃겨야하는데 여간해서는 사람들
이 잘 웃지않는 특성이 있어서 문제다. 외국의 블랙 코미디
는 관중을 다룰 수 있는 코미디언이면 말이 조금 끊겨도 계
속 웃는 관중에 분위기가 오히려 달아오른다. 끝나는 내내
웃음소리가 멈추지않는다. 우리나라의 스탠드업 코미디는
TV방송이 본격화된 시점인 1980년대에 잠시 유행됐었다.
이 시기에 김병조,주병진,김형곤 등이 주인공들이다. 그들
은 당시 표현의 자유가 제한되어 있었고 풍자가 폭넓게 보
장되지않아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전유성은 사실 코미디언과 개그맨 중간쯤에 있는 사람이다.
그가 처음 데뷔를 한 때는 심형래 등 전통 코미디언들이 아
직 코미디의 시장을 지배하고 있을 때였다. 그러나 조금후
부터 '코미디'는 퇴락하고 그 자리를 최향락, 김미화 등 '개
그맨' 명칭을 가진 사람들이 차지하면서 시장이 변화의 길
로 들어섰다. 일각에서는 국내 코미디계에 '개그맨'의 용어
를 도입한 사람이 바로 전유성이라는 설도 있다. 그러나 전
유성은 코미디와 개그의 중간에 어정쩡하게 걸쳐있다. 이번
에 그가 '코미디'라는 분야로 기울어져서 '스탠드업 코미디'
를 선보인다고 하니 개그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관심을 갖고 지켜볼 일이다.
'글이 있는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발 세계적 파장 - 후쿠시마표 일본식품 퇴출 (0) | 2019.04.12 |
---|---|
문재인 정부는 줄만 잘서면 각종 투기꾼들이 출세하는 투전판 (0) | 2019.04.11 |
수십년생 생나무를 잘라 장작으로 - SBS가 방송한 이 장면은 패역행위. (0) | 2019.04.07 |
광둥성 손님의 만원짜리 선물 - 김영란법 때문에? (0) | 2019.04.05 |
창원·성산 보궐선거- 정의당의 씁쓸한 승리를 보면서 (0) | 2019.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