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 있는 풍경

나무덮개를 제거한 로마의 '성(聖) 계단'(Scala Sancta·스칼라 상타)

살며생각하며 2019. 4. 18. 22:32


    2019년 4월 18일.


    2000년전 예루살렘의 법정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그리고 총독이 죄인을 처벌하는 절차는 어땠을까.

    당시에는 이스라엘이 로마제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는데 로

    마인 본디오 빌라도가 총독으로 이스라엘을 통치하고 있었

    다고 신약 성서에 기록돼 있다. 그는 어느 날 이스라엘민족

    의 고유종교인 유대교의 우두머리격인 제사장들이 동원한

    군중들로부터 나사렛 예수를 사형시켜달라는 요구를 받게

나무덮개를 제거한 로마의 '성(聖) 계단'(Scala Sancta·스칼라 상타       된다. 당시에 팔레스타인 지역에는 범죄가 넘쳐나고 민심이

                                                                                            흉흉해서 서민들은 (로마로부터 나라를 구하고 민심을 안정

                                                                                            시킬) 메시아가 나타나기를 고대하고 있었고 이를 이용해서

                                                                                            너도나도 메시아라고 자청하는 무리들이 출몰하는 기류라

                                                                                            유대교 제사장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었는데 마침 나사렛 예

                                                                                            수라는 사람이 나이 서른살의 젊고 매력적인 모습으로 이곳

                                                                                            저곳 다니면서 추종자들을 모으고 군중들을 끌어들이며 범

                                                                                            죄자 창녀 걸인 불구자 모든 사람을 사랑으로 대하라고 설파

                                                                                            하고 다니니 도저히 두고볼 수 없다며 돈으로 추종자를 매수

                                                                                            해서 예수를 체포한 후에 혹세무민죄로 헤롯왕으로부터 사

                                                                                            형결정을 받아내 이를 집행하려고 빌라도 총독에게 데려온것

                                                                                            이다. 이 때 예수가 걸어 올라갔던 계단이 지금 로마에 보존

                                                                                            돼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당시 빌라도 총독의 재판 절차는 어땠나.

                                                                                            빌라도는 당시 이스라엘 내 잦은 폭동과 범죄 폭증으로 로마

                                                                                            원로원으로부터 추궁을 당하고 있었기에 예수때문에 군중들

                                                                                            이 폭동을 일으킬까 두려워 얼른 군중들의요구를 받아들이려

                                                                                            했다. 그러나 그에대한 반대도 만만치 않았다. 특히 빌리도의

                                                                                            아내인 클라우디아가 예수의 처형을 극구 반대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깊이 고민하던 빌라도는 며칠 후에 군중들 앞에서

                                                                                            타협안을 제시했다. 그 안은 당시 사형집행을 대기하고 있던

                                                                                            흉악범 세 명을 공개하고 (십자가는 세 개이니) 만약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으려면 이둘중 누군가를 풀어줘야 할 것인데 과

                                                                                            연 흉악범을 풀어주면 되겠나라며 예수를 풀어주게 분위기를

                                                                                            몰아갔다.

                                                                                            그러나 예상과 다르게 군중들은 완강하게 예수의 처형을 요 

                                                                                                      했다고 성서에 기록돼 있다. 그들은 세명의 사형수중 한 명을

                                                                                            살려 주더라도 예수를 십자가에 못박아야 한다고 소리쳤다.

    이 소동에 결국 빌라도도 손을 들고 (살인범)바랍바를 사면해

    주면서 대신 예수를 십자가 형에 처했다고 한다.


    당시 예수가 재판을 받기 위해 법정의 계단을 올라 시민들

    의 결정을 기다렸는데 그 계단을 나중에 뜯어서 로마르 가

    져갔다는게 로마 교황청의 역사 기록이다. 그 비극적인 계

    단 이름을 로마교황청은 '성(聖)계단'(Scala Sancta·스칼라

    상타)라고 이름지었는데 이 계단은 28개로 되어 있고 바닥

    재질이 대리석으로 돼있다고 한다. 예루살렘에 자리해 있던

    이 계단은 기독교인들에게 신앙의 자유를 처음 허용한 콘스

    탄티누스 대제의 어머니인 헬레나 성녀가 기독교로 개종한

    뒤 326년 로마로 가져왔다고 한다.  그 뒤 교황 이노켄티우

    스 13세는 1723년 이 계단을 마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나

    무 덮개를 씌웠고, 이후 이 계단은 1950년 청소를 위해 한

    례 뜯어낸 것을 제외하면 목재 속에 감춰진 채 밖으로 드러

    난 적이 없다고 한다. 


    이런 사연을 가지고 있는 성계단이 지난주 300년만에 맨살

    을 드러냈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로마 동남부 성요한

    라테라노 대성당 옆에 위치한 이 계단은 대리석 계단과 천장,

    벽의 프레스코화 등에 대한 약 10년에 걸친 복원 작업을 최

    근 마무리하고 신자들에게 공개를 하게된 것이다. 공개에앞

신도들은 기어서 계단을 오르며 "여기 어디에 예수의 보혈이 있다는데"   서 로마교구 총대리 안젤로 데 도나티스(Angelo De Donatis)

추기경이 복원된 ‘성 계단’을 축복하는 의식을 치렀다.    

        

대리석 계단은 수많은 순례객들의 방문으로 심하게 닳아 있

는데, 순례객들은 이 계단을 오를 때 절대 걸어서 오를 수 없

고 반드시 무릎과 손으로만 (기어서) 올라가야 한다고 -

이게 정말 2000년전 빌라도 법정 계단이 맞는지 궁금하다.